✅ 1. 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📌 개념
-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이라는 이름처럼,
네트워크 장비나 컴퓨터들이 서로 "상태나 문제 상황을 알릴 때" 사용하는 통신 방법이다.
- TCP/UDP처럼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는 아니고,
연결 상태나 에러, 네트워크 상황 등을 알리는 “통지용 메신저” 같은 역할을 한다.
📥 대표적인 기능
기능 |
설명 |
Ping |
특정 IP 주소가 살아 있는지 확인할 때 ICMP를 이용한다. |
Destination Unreachable |
도착할 수 없는 주소에 패킷을 보내면, "갈 수 없음"이라는 응답을 ICMP로 돌려준다. |
Time Exceeded |
TTL(Time to Live)이 다 되면 “시간 초과” 메시지를 돌려준다. |
📦 쉽게 비유하자면?
ICMP는 택배기사와 고객센터 사이의 연락 문자처럼 동작한다.
- "이 주소는 없어요"
- "배달 완료했어요"
- "배달 중 문제가 생겼어요"
→ 이런 알림 메시지를 주고받는 도구가 바로 ICMP다.
💡 참고
- ICMP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게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,
공격자가 이를 우회하거나 악용하기도 쉬워서 보안상 주의가 필요하다.
✅ 2. 브로드캐스트 (Broadcast)
📌 개념
- 한 대의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컴퓨터에게 동시에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이다.
- IP 주소 중에 끝이 .255인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된다. (예: 192.168.0.255)
📬 언제 쓰일까?
예시 |
설명 |
ARP 요청 |
"이 IP 가진 컴퓨터 누구야?"라고 물을 때, 네트워크 전체에 물어본다. |
초기 네트워크 설정 |
IP가 없는 장비가 처음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, 전체에게 DHCP 요청을 보낸다. |
📦 쉽게 비유하자면?
아파트 단톡방에 “지갑 주우신 분 있나요?” 하고 올리는 것과 같다.
→ 모든 입주자(컴퓨터)가 이 메시지를 받아보게 된다.
⚠️ 위험한 이유
- 브로드캐스트는 모든 컴퓨터가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,
이를 악용하면 동시에 수많은 응답이 한 곳에 몰리는 스머프 공격 같은 일이 발생할 수 있다.
🧠 요약 정리
용어 |
역할 |
비유 |
ICMP |
네트워크 상태나 오류를 알리는 메시지 |
고객센터 문자, 택배기사 알림 |
브로드캐스트 |
한 대가 전체 컴퓨터에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 |
단체방 전체 공지, 전체 호출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