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격증/정보처리기사

[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] 네트워크 신기술 용어

꾸행일기 2025. 7. 17. 08:00

✅ 1. 네트워크 구조를 바꾸는 기술

🔹 SDN (Software Defined Networking)

개념: 네트워크의 ‘두뇌’를 중앙에서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는 기술.

기존과 차이: 전통 네트워크는 하드웨어(스위치/라우터)가 경로 결정까지 모두 했지만, SDN은 "제어 기능"을 따로 떼서 중앙에서 결정함.

장점: 네트워크 관리가 유연하고 자동화됨.


🔹 NFV (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)

개념: 라우터, 방화벽 같은 네트워크 장비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하는 기술.

목적: 하드웨어를 줄이고, 서버에서 소프트웨어로 여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.

장점: 비용 절감, 확장 용이성.


🔹 네트워크 슬라이싱

개념: 하나의 물리적 5G망을 ‘여러 가상망’으로 나누어,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.

예시: 자율주행용 망, VR용 망, IoT용 망을 각각 다르게 설정.

장점: 용도별 맞춤형 네트워크 제공.


✅ 2. 엣지 컴퓨팅과 지능형 네트워크

🔹 MEC (Multi-access Edge Computing)

개념: 데이터 처리를 중앙 서버가 아니라, 사용자 가까운 ‘엣지’(기지국 근처)에서 수행.

목표: 지연시간 최소화, 빠른 응답.

예시: 자율주행, AR/VR 실시간 처리.


🔹 스마트 그리드

개념: 전력망에 IT를 접목해, 전기 생산과 소비를 지능적으로 조절하는 시스템.

기능: 전기 사용량 모니터링, 자동 분배, 재생에너지 연계.


✅ 3. 사물인터넷(IoT)과 센서 네트워크

🔹 IoT (Internet of Things)

개념: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.

예시: 스마트 전구, 온도 센서, 냉장고 등.


🔹 MQTT / CoAP

MQTT: IoT 기기끼리 빠르고 가볍게 메시지를 주고받는 프로토콜.

CoAP: HTTP보다 가벼운 구조로 IoT 환경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.


🔹 Zigbee / BLE / WBAN / UsN

Zigbee: 저전력 센서망. 스마트홈 기기 연결에 많이 쓰임.

BLE: 블루투스의 저전력 버전.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합.

WBAN: 인체 주변의 센서 기기 네트워크. 예: 스마트워치+심박 측정기.

UsN: 어디에나 센서가 설치된 네트워크. 예: 온도, 습도, 조도 감지 등.


✅ 4. 무선 및 근거리 통신 기술

🔹 NFC (Near Field Communication)

개념: 10cm 이내 거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.

예시: 교통카드, 모바일 결제.


🔹 블루투스 / BLE

블루투스: 10m 내의 기기 연결.

BLE: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는 블루투스.


🔹 UWB (Ultra Wideband)

개념: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기술. 위치나 거리 측정에 탁월.

예시: 갤럭시 스마트태그, 에어태그.


🔹 Zing

개념: 적외선을 활용한 고속·근거리 무선통신.

특징: 비가시광선 영역 활용, 동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 전송 가능.


✅ 5. 통신 인프라와 기술

🔹 BcN (Broadband Convergence Network)

개념: 유무선, 방송통신, 인터넷을 하나로 통합하는 초고속 통신망.

목적: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모든 서비스를 처리.


🔹 스몰셀

개념: 소규모 범위를 커버하는 기지국.

용도: 도시나 건물 내 음영지역 보완.


✅ 6. 차량 통신 및 새로운 네트워크 개념

🔹 C-V2X (Cellular Vehicle to Everything)

개념: LTE나 5G 기반으로 차량이 다른 차량, 보행자, 인프라와 실시간으로 통신.

용도: 자율주행, 교통안전.


🔹 메시 네트워크

개념: 모든 노드가 서로 직접 연결되는 구조.

장점: 한 노드가 고장 나도 경로를 우회함.


🔹 NOMA (Non-Orthogonal Multiple Access)

개념: 하나의 주파수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방식.

**기존 방식(FDMA 등)**은 사용자끼리 분리했지만, NOMA는 겹치게 써서 효율을 높임.


🔹 NDN (Named Data Networking)

개념: ‘데이터의 이름’으로 통신하는 새로운 인터넷 구조.

기존 IP는 주소를 기준으로 전달했지만, NDN은 ‘콘텐츠 자체’에 초점.



🎯 요약 암기 정리

분류 기억 포인트

제어/가상화 SDN, NFV, 슬라이싱 (네트워크 뇌를 뗀다, 가상화한다)
엣지/스마트화 MEC, 스마트 그리드 (빠르게, 똑똑하게 처리)
IoT 센서망 IoT, MQTT, CoAP, Zigbee, BLE, WBAN, UsN
근거리 통신 NFC, 블루투스, BLE, UWB, Zing
통신 인프라 BcN, 스몰셀
차량/신기술 C-V2X, 메시, NOMA, ND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