🧩 세션 하이재킹이란?
📌 개념
- 케빈 미트닉이 사용했던 공격 방법 중 하나로 TCP 세션 관리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기법.
-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세션을 가로채서,
공격자가 그 사람인 척 접속하는 공격이다.
📦 비유
“놀이공원에서 친구가 줄 서 있는 걸 보고,
뒤에서 몰래 줄에 껴들어 표 없이 입장하는 것”
- 서버는 이미 로그인한 사람이니까 정상 사용자로 착각하게 된다.
🧩 탐지 방법
탐지방법 | 의미 | 예시 | 관련 공격 |
비동기화 상태 | TCP 시퀀스 번호 어긋남 | 메시지 순서가 꼬임 | 세션 하이재킹, MITM |
ACK 패킷 비율 이상 | ACK만 반복되거나 없음 | 대화 중 "응, 응..."만 계속 | 세션 탈취, 세션 간섭 |
특정 세션에서 패킷 유실·재전송 증가 탐지 | 패킷 손상·지연 | 편지를 여러 번 보내야 도착 | 중간자 공격, 세션 간섭 |
기대하지 않은 접속의 리셋 탐지 | 세션이 갑자기 끊김 | 전화선이 끊김 | 공격자가 세션 강제 종료 후 탈취 시도 |
✅ 1. 비동기화 상태 탐지 (Desynchronization Detection)
📌 개념
- 통신하는 두 장치(TCP 클라이언트와 서버)의 시퀀스 번호나 세션 상태 정보가 서로 어긋난 상태를 말한다.
- 세션 하이재킹 시 공격자는 정확한 시퀀스 번호를 알지 못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된다.
📦 예시
원래는 메시지 순서가 1→2→3→4가 되어야 하는데,
공격자가 중간에 끼어들면서 순서가 뒤틀려 2→5→3→4가 되는 상황이다.
🧠 왜 중요할까?
- 이런 **순서 어긋남(Desync)**은 자연스럽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
**세션 탈취 또는 중간자 공격(MITM)**을 의심할 수 있는 강력한 신호다.
✅ 2. ACK 패킷 비율 모니터링 (Monitoring ACK Ratio)
📌 개념
- TCP 통신에서 ACK(응답 확인) 패킷은 매우 중요하다.
- 정상적인 통신에서는 데이터 → ACK → 데이터 → ACK 패턴이 유지된다.
- 그런데 세션을 탈취하거나 간섭하는 공격자가 등장하면, ACK 없이 데이터만 쏟아지거나
혹은 ACK만 계속 반복적으로 오는 비정상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.
📦 예시
“대화에서 A가 계속 말하는데 B가 ‘응, 응, 응...’만 하고 아무 말도 안 하는 느낌”
→ 비정상 대화 상태로 볼 수 있다.
🧠 왜 중요할까?
- ACK 비율이 비정상적이면, 세션에 제3자가 개입했거나 네트워크가 공격받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.
✅ 3. 특정 세션에서 패킷 유실 및 재전송 증가 탐지
📌 개념
- 세션 하이재킹이나 MITM 공격이 발생하면,
패킷이 중간에 도착하지 않거나, 손상되어 재전송 요청이 늘어날 수 있다. - 또한 공격자가 가짜 패킷을 보내거나 정상 흐름을 차단하면 전송 실패율이 올라간다.
📦 예시
원래 편지가 하루 만에 오는데, 중간에서 누가 몰래 편지를 훔쳐보고 다시 보내면서
편지가 자꾸 늦게 오거나 여러 번 보내야 도착하는 상황이다.
🧠 왜 중요할까?
- 일정 세션에서만 유독 패킷 유실률과 재전송률이 높다면,
세션을 가로채려는 시도가 있다는 강력한 경고 신호로 볼 수 있다.
✅ 4. 기대하지 않은 접속의 리셋 탐지 (Unexpected TCP Reset Detection)
📌 개념
- TCP 연결을 강제로 끊는 방식 중 하나가 RST(Reset) 패킷이다.
- 공격자는 세션을 탈취하거나 방해하기 위해 정상 세션에 RST 패킷을 보냄으로써 연결을 끊어버릴 수 있다.
- 만약 사용자가 끊지 않았는데 의도치 않은 RST 패킷이 자주 발생하면,
공격자가 세션을 종료시키고 그 자리를 노리는 것으로 볼 수 있다.
📦 예시
누군가가 몰래 전화선을 잘라버려서 통화가 갑자기 끊기는 것과 같다.
🧠 왜 중요할까?
- 정상적인 종료는 FIN 패킷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만,
RST는 비정상적이거나 공격적인 종료 방식이므로 주의 깊게 봐야 한다.
'자격증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] 화이트박스 테스트 개념 및 유형 종류, 커버리지 개념 (3) | 2025.07.14 |
---|---|
[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] 네트워크 공격 기법 - 스니핑/네트워크 스캐너/스니퍼/패스워드 크래킹/IP스푸핑/ARP스푸핑/ICMP 리다이렉트/트로이목마 (1) | 2025.07.13 |
[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] DDoS, DRDoS 공격 개념 및 대응 방안 (0) | 2025.07.10 |
[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] DoS 개념 및 공격기법 종류 | SYN플러딩/UDP플러딩/스머프/스머핑/죽음의핑/랜드어택/티어드롭/봉크 (3) | 2025.07.09 |
[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]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3대 요소 - 기밀성/무결성/가용성 (0) | 2025.07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