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격증/정보처리기사

[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] DDoS, DRDoS 공격 개념 및 대응 방안

꾸행일기 2025. 7. 10. 18:59

✅ 1. DDoS (Distributed Denial of Service,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)

📌 개념

  • 여러 대의 컴퓨터(좀비 PC)를 동시에 이용해 특정 서버나 네트워크를 공격하는 방식이다.
  • 정상 사용자도 접근하지 못할 만큼 트래픽을 폭주시켜 서버를 마비시킨다.

📦 실생활 비유

“버스에 수백 명이 가짜로 줄 서 있어서, 진짜 승객이 못 타는 상황”

  • 혼자 장난치는 게 아니라, 무리 지어서 한꺼번에 몰려오는 공격이다.

🔧 공격 방식

  • 감염된 좀비 PC(봇넷)를 이용해 피해 서버에 요청 폭탄을 보낸다.
  • 서버는 정상 요청인지 구분 못 하고 응답하려다 리소스를 모두 소모하게 된다.

🛡️ 대응 방법

✅ 웹방화벽 트래픽 이상 감지 후 자동 차단
✅ CDN 여러 서버로 분산시켜 부하 완화
✅ 공격 IP 차단 블랙리스트, Geo IP 필터링 등 사용
 

✅ 2. DRDoS (Distributed Reflection DoS, 분산 반사형 서비스 거부 공격)

📌 개념

  • DDoS와 유사하지만, 중간에 ‘반사경’ 같은 서버를 거쳐 공격하는 방식이다.
  • 공격자가 출발지 IP를 피해자 IP로 **위조(스푸핑)**해서,
    제3의 서버(반사자)가 피해자에게 응답 폭탄을 보내게 만든다.

📦 실생활 비유

"다른 사람 이름으로 단체방에 ‘전화해달라’고 올려서,
수많은 사람들이 피해자에게 전화를 거는 상황"

  • 공격자는 직접 공격하지 않고, 남들을 조종해서 공격하게 만든다.

🔧 공격 방식

  1. 공격자는 DNS, NTP, Memcached 같은 공공 서비스 서버에 요청을 보냄.
  2. 출발지 IP를 피해자의 주소로 위조함.
  3. 반사 서버가 피해자에게 응답 → 폭주 트래픽이 피해자에게 집중됨.

🛡️ 대응 방법

✅ 스푸핑 차단 Ingress Filtering (IP 위조 차단) 적용
✅ 반사 서버 차단 응답이 과도한 공개 서버 탐지 및 차단
✅ 요청 제한 DNS/NTP 서버에 응답 속도 제한 적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