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격증/정보처리기사

[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] UML 다이어그램 종류 쉽게 이해하기

꾸행일기 2025. 7. 3. 18:30

UML(Unified Modeling Language) 다이어그램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다.

크게 나누면 구조적(정적) 다이어그램행위적(동적) 다이어그램으로 나뉜다.


✅ 1. 구조적 다이어그램 (Structural Diagrams, aka 정적 다이어그램)

시스템의 **구조(구성 요소와 관계)**를 표현해. 즉, 클래스, 객체, 컴포넌트 등 **변하지 않는 부분(정적 측면)**을 그린 거야.

🔸 주요 다이어그램 종류: [클객 컴배 복패]

다이어그램설명 [클객 컴배 복패]

래스 다이어그램 클래스 간의 관계(상속, 연관, 집합 등)를 표현해. 가장 자주 쓰이는 다이어그램.
체 다이어그램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인스턴스 상태를 나타냄. 객체와 그 관계를 보여줘.
포넌트 다이어그램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포넌트(모듈)의 구조와 의존 관계 표현.
치 다이어그램 하드웨어 환경에서 시스템이 어떻게 배치되는지 보여줘 (서버, 노드 등).
합 구조 다이어그램 객체 내부 구성요소와 포트를 나타냄. 클래스 내부 구조까지 세밀하게 표현.
키지 다이어그램 여러 클래스를 묶은 패키지 단위의 관계를 표현.
 

 

👉 구조적 다이어그램 = 어떤 부품들로 시스템이 만들어졌는지 보여줌


✅ 2. 행위적 다이어그램 (Behavioral Diagrams, aka 동적 다이어그램)

시스템의 **동작(행위)**과 시간에 따른 변화, 즉 프로세스 흐름과 객체의 상호작용을 표현해. 즉, 시스템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보여줘.

🔸 주요 다이어그램 종류: [유시커 상활타]

다이어그램설명 [유시커 상활타]

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사용자(액터)와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시각화 (요구사항 분석 시 주로 사용).
퀀스 다이어그램 객체 간 메시지 교환 순서를 시간 순서대로 표현해 (누가 누구에게 어떤 메시지를 보냈는지).
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 객체 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결 구조에 중점. 시퀀스보다 구조를 강조.
태 다이어그램 객체나 시스템의 상태 변화 과정을 표현해 (상태 → 이벤트 → 상태 전이).
동 다이어그램 워크플로우나 절차(로직) 흐름을 표현. if-else, 반복, 병렬 흐름 등 표현 가능.
타이밍 다이어그램 객체의 상태가 시간 축을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줌. 임베디드 시스템 등에서 유용.
 

 

👉 행위적 다이어그램 = 시스템이 시간 흐름에 따라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여줌


🧠 정리: 구조 vs 행위

구분구조적 다이어그램행위적 다이어그램

 

구분 구조적 다이어그램 행위적 다이어그램
관점 시스템 구성 요소 중심 동작과 흐름 중심
시간적 변화 없음 (정적) 있음 (동적)
주요 내용 클래스, 객체, 컴포넌트, 배치 등 유스케이스, 시퀀스, 상태, 활동 등
목적 구성을 명확히 행위 흐름을 명확히